2025년 반려동물 등록 방법과 절차 - 보호자 필독 가이드
2025년부터 반려동물 등록제가 전면 강화되면서, 모든 반려동물 보호자는 반드시 정해진 절차에 따라 등록을 완료해야 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반려견과 반려묘 등록 방법, 등록 가능한 장소, 필요한 서류 및 절차를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1. 등록 대상 동물
2025년부터 등록이 의무화된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생후 2개월 이상 반려견
- 생후 2개월 이상 반려묘(고양이) - 신규 포함
2. 등록 가능한 장소
반려동물 등록은 다음 기관을 통해 가능합니다:
- 지자체 지정 동물병원
- 지역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
- 모바일 등록 앱 ‘펫등록 365’ (2025년부터 신규 도입)
3. 등록 방법 상세 절차
반려동물 등록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:
- 등록기관 방문 또는 앱 설치 후 접속
- 보호자 정보와 반려동물 정보 입력
- 전자식 식별장치 선택: 전자칩(내장형) 또는 외장형 태그
- 수수료 납부 및 장치 부착/삽입
- 등록 완료 후 등록번호 부여 및 확인증 수령
4. 등록 장치 종류
등록 시 선택 가능한 식별장치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내장형 전자칩: 동물 피부 아래 삽입하는 방식. 분실 위험 없음.
- 외장형 태그: 목걸이 형태로 착용. 제거 가능하지만 쉽게 눈에 띔.
5. 등록 시 필요한 서류
방문 등록 시 다음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:
- 보호자 신분증
- 동물의 사진 (일부 지자체 요구)
- 예방접종 기록 또는 동물 건강기록 (선택)
6. 등록 후 정보 변경 신고
등록 후 다음과 같은 변경 사항이 발생하면 30일 이내 신고가 필요합니다:
- 보호자 변경
- 주소지 변경
- 반려동물의 사망 또는 분실
변경 신고는 온라인(펫등록 365) 또는 지자체를 통해 할 수 있습니다.
7. 등록 비용은 얼마인가요?
지자체에 따라 비용 차이가 있으나,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:
- 전자칩 등록: 약 10,000 ~ 20,000원
- 외장형 태그 등록: 약 5,000 ~ 15,000원
장애인이나 저소득층 보호자의 경우 등록 수수료 감면 혜택도 제공됩니다.
8. 등록의 중요성
등록된 반려동물은 실종 시 빠르게 보호자에게 반환될 수 있으며, 향후 펫보험 가입, 동물병원 진료, 지자체 혜택 등과도 연계됩니다. 무엇보다 동물 유기 방지 및 생명권 보호를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.
마무리
2025년은 반려동물 보호제도의 전환점입니다. 등록을 미루지 말고, 오늘 바로 등록 절차를 진행해 보세요. 더 안전하고 책임 있는 반려 문화를 함께 만들어 갑시다.